본문 바로가기
Read

테스토스테론 [스트레스 제로인 사람의 머릿속]을 읽고.

by nspiceno1 2023. 2. 9.
반응형

스트레스제로인 사람의 머릿속 표지

 

처음엔 뭔가 대책없는 소리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내용의 대부분은 

'내가 싫으면 안 하면 된다' '빠르게 포기하고 도망쳐라' '그냥 지금을 즐겨라~' '운동해라~'였으니.

 

하지만 이상하게도 손이 바쁘게 받아적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생각했다. 내게 필요한 것은 어쩌면 이렇고 저렇고 한 거창한 위로보다는,

예쁘게 꾸며낸 문장들 보다는, 이런 단순하고도 단순한 위로일지도 모르겠다는. 그런 생각.

 

너무 단순한 해결책들이지만 정답이 아닌 것들은 없다.

결국 내가 해결할 수 없는 일은 깔끔하게 포기하는게 맞고, 내 뜻이 아닌 남에게 등떠밀려 내린 결정은 언젠간 포기하게 될 것이며, 이꼴저꼴 더러운 꼴 다 보기전에 아닌 것 같으면 도망치는 것도 맞고, 마음이 복잡할 땐 땀 흘리며 운동하는 것만큰 확실한 대안도 없다.

어쩌면 인생은 너무나도 간결한 그 자체일 거란 생각이 들었다.

복잡한 세상과 복잡한 마음들에 엉켜 살다보니 해결책도 저기 저 먼 심연에서 찾으려 했던 것이 아닐까.

어떤 트라우마든, 나쁜 기억이든, 어린시절의 상처든. 이제와서 탓하면 무엇할까.

그저 지금을 보다 간결하게 하고 주변을 정리하며 행복할 땐 겁 먹지 않고 당당하게 즐기는 것. 그것만으로도 나의 인생은, 마음은 충분할지 모른다.

 


 

"나에게는 행복해질 권리가 없나?"

"너무 행복하면 불행해진다는데."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 당신은 마음 놓길.

당당하게 행복해져라. 그리고 반드시 행복해질 것이다.


화를 버려라. 

화를 내고 있다는 것은, 자신감과 여유가 없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자신의 미숙함을 만천하에 알리는 부끄러운 일이다.

인생에서 깊이 관계 맺지 않을 사람이라면 분노보다는 미소를 보이는 것이 압도적으로 편하다.

 


최소한의 사회성만 지키고 나머지는 남 신경 쓰지말고 '있는 그대로의 나'로 있도록 하자.

'가짜 나'를 연기해 얻은 호감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모든 스트레스는 기대에서 나온다.

이렇게 해주면 좋겠다고 기대하고 저렇게 해야만 한다고 기대했는데 상대방이 그 기대를 저버린다.

그러면 우리는 스트레스를 받을 수 밖에 없다.

타인은 기대 이상으로 최악의 존재다.

타인은 내가 절대로 컨트롤 할 수 없고 누구나 자기 자신을 가장 아끼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기대대로 움직여주지 않는다.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기대하는 것은 질 것이 뻔한 게임을 하는 것과 같다.

반응형

댓글